wifi 공유기 여러대를 한 네트워크로 연결해 접속지점을 늘일 수 있다. (예. IP TIME 공유기 3대 사용 시)
1. 메인 공유기를 제외한 두 대의 공유기를 일반적인 스위칭허브/AP처럼 사용해야 한다.
2. 공유기 3대의 내부 IP를 모두 다르게 설정한다.
- 메인 공유기의 내부 IP는 그대로 두기 (192.168.0.1)
- 2, 3번 공유기의 웹 설정화면 (http://192.168.0.1)에 접속 -
관리도구 - 고급설정 - 네트워크관리 - 내부네트워크 설정 - 내부IP주소의 끝자리를 임의로 변경한 후
(예 : 192.168.0.200 / 201) - “적용 후 시스템 다시 시작 클릭”
3. 메인 공유기를 제외한 두 대의 공유기의 DHCP 기능 중지.
- 변경된 내부 IP주소 (예 : 192.168.0.200 / 201)로 재 접속 - 관리도구 - 고급설정 - 네트워크관리 -
내부네트워크 설정 - 하단의 “DHCP 서버 설정”을 “중지”로 체크 후 적용
4. 공유기 연결
- 메인 공유기의 WAN 포트에 모뎀(인터넷) 연결 –
메인 공유기의 클라이언트 포트에 2번 공유기를 연결 (WAN 포트에 연결X) -
메인 공유기의 클라이언트 포트에 3번 공유기를 연결 (WAN 포트에 연결X)
(메인 공유기와 2,3번 공유기 연결시 2,3번 공유기는 스위치로 동작하게 되므로 WAN 포트에 연결하면
안된다. WAN은 비우기)
5. 점검
- 설정 완료 후 정상적으로 인터넷이 되지 않는다면 IP할당이 되지 않는 문제로 PC와 모든 공유기를
재부팅 한다.
- 2번 공유기에 접속해서 설정이 필요할 때, 메인공유기에 연결된 PC에서 192.168.0.200을 입력하면
접속이 가능 하다.
- 메인 공유기에 "내부 네트워크에서 DHCP 서버 발견시 공유기의 DHCP 서버기능 중단" 에 체크된 경우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 일부 환경에서 공유기를 스위치(허브)로 변경 후, UPNP 포트포워딩 기능이 실행 중이라면 네트워크
장애를 유발시킬 수 있으니 중단 시키기 (공유기 웹 설정화면 – 고급설정 – 시스템관리 – 기타설정 –
UPNP설정 – 중단 – 적용)
(UPNP는 별도로 포트포워딩을 하지 않아도 외부접속이 가능하게 포트를 열어주는 기능)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블방송 인터넷 장애 (0) | 2014.12.13 |
---|---|
PPOE 인터넷 설정 (0) | 2014.12.13 |
공유기를 허브용도로 사용 (0) | 2014.12.13 |
(유무선 IP 공유기) 고정IP와 wifi 간 IP 충돌 방지 설정 (2) | 2014.12.13 |
공유기와 허브(스위치)의 차이점 (0) | 2014.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