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를 고정IP로 설정해 네트워크를 구성한 경우 별도 설정이 없다면
PC가 꺼져있는 경우 wifi가 PC IP를 침범해 PC를 켰을 때 IP 충돌로 네트워크 연결이 실패할 수 있음.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192.168.0.1(IP TIME 기준, 제조사별로 다름) 입력 후 공유기 설정 페이지로 이동.
다음, DHCP 서버 상태 설정에서 동적 IP주소를 192.168.0.120 ~ 192.168.0.254로 범위 설정.
이렇게 설정하면 고정IP는 192.168.0.2 ~ 192.168.0.119 까지를 할당하면 되고 동적 IP(wifi)는
고정IP를 침범하지 않고 120~254 범위 안에서 잡힘.
(참고 : 동적IP는 최대한 적게 할당해 주기. PW를 걸어준 경우 200~254 / 개방인 경우 230~254 등으로.
접속이 많으면 속도 느려짐)
* 좀 더 확실한 방법으로
고급설정 – 네트워크관리 – 내부네트워크 설정에서 내부 IP를 192.168.0.1에서 임의로 10.10.10.1로 변경.
(PW를 걸지 않고 공개로 wifi 사용시 iptime 공유기가 제일 많이 보급되어 있으므로 다른건물과 ip가 충돌하지
않도록 내부 ip변경. 다른 건물에 ip time 무선 공유기가 있다면 같은 192.168.0.1 과 혼선이 있을 수 있음)
다음, DHCP 서버 상태 설정에서 10.10.10.120 ~ 10.10.10.254로 동적 IP주소 범위 설정.
이렇게 설정하면 고정IP는 10.10.10.2~10.10.10.119까지를 할당하면 되고 동적 IP(wifi)는
고정IP를 침범하지 않고 120~254 범위 안에서 잡힘
(공유기 내부 IP변경 후 분실해서 설정 변경이 안된다면 리셋버튼 이용해서 초기화.
초기화 후 원래의 기본 내부 IP로 돌아가므로,
PC에서 고정IP로 설정되어 있다면 재설정 해주어야 LAN 연결 됨)
*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일반 공유기에 내부IP가 다른 wifi 공유기를 추가 연결해서 사용 (내부 IP가 같으면 추가공유기 사용 안됨)
PC는 첫번째인 일반 공유기에 연결하고 두번째 공유기를 통해 wifi 사용.
(같은 공유기라도 내부 IP를 변경하면 가능)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블방송 인터넷 장애 (0) | 2014.12.13 |
---|---|
PPOE 인터넷 설정 (0) | 2014.12.13 |
공유기를 허브용도로 사용 (0) | 2014.12.13 |
AP (Access Point) 구성 방법 (0) | 2014.12.13 |
공유기와 허브(스위치)의 차이점 (0) | 2014.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