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ARTICLE 하드웨어 정보 | 2 ARTICLE FOUND

  1. 2014.12.14 모니터 불량화소(스턱 필셀) 검사 및 치료방법
  2. 2014.12.14 PC 메인보드 수은전지

 

UDPixel.zip

 

TEST - Nokia.zip

 

TEST - PixelTest.zip

 

먼저, 초기 불량인 제품은 교환 받는걸 추천.

 

불량화소의 종류 : 핫픽셀(흰색으로 계속 빛나는), 데드픽셀(빛이 나지 않는), 스턱픽셀(빨,초,파,하,노로 빛나는)

                         핫픽셀과 데드픽셀은 아래의 방식으로도 치료가 불가능하고, 스턱픽셀이라 하더라도 100%

                         보장은 할 수 없음.

 

1. 첨부된 UDPixel 파일을 사용하여 치료

   - 소프트웨어적으로 불량화소 제거 (모니터의 깜빡임 속도를 빠르게해 불량화소를 되살림)

   - Dead pixel locator 항목으로 불량화소 위치 및 갯수를 확인.

   - Flash windows 항목에  불량화소 갯수입력.

   - Flash size 항목에 불량화소 크기와 비슷한 사이즈 입력. 보통 5x5 추천.

   - Flash interval 항목에 모니터 제품의 반응 속도 입력 (모니터 사양 확인)

   - START를 누르면 깜빡이는 점들이 나오는데, 불량화소 위치로 드래고해서 최소 수시간 정도 지켜보기.

 

2. 면봉신공을 사용하여 치료 

   - 물리적으로 불량화소 제거(접점이 불안정하게 닿아 나타나는 전압 이상현상을 문질러서 붙여주는 작업)

   - 상황에 따라서 위험한 방법이 될 수도 있으니 실험정신을 발휘해야 함. (실제 A/S 기사님들도 쓰는 방법이라 함)

   - 면봉의 끝부분을 이용하여 조금 힘을 줘서 불량화소 부분을 여러번 반복해여 누른다.

   - 개선되지 않는 경우, 문질러 준다. (솜이 벗겨지면 튀어나온 나무부분으로 인해 위험할 수 도 있으니 조심)

   - 수분 이상 작업하며 지켜본다.

 

3. 해외에서는 뜨거운 수건을 모니터가 젖지 않게 팩으로 싼다음 포인트 부분을 눌러주는 방식도 사용 한다고 함

 

4. 시간 이 자나면서 자연적으로 증상이 차츰 완화되며 사라지는 경우 도 있음 (몇주~몇달)

 

불량화소 테스트 프로그램 별도 첨부.

'하드웨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 메인보드 수은전지  (0) 2014.12.14
AND

 

PC 사용시 시간이 초기화 되거나 부팅 시 계속 F1을 누르라는 등의 메시지가 나오면

 

메인보드의 수은전지 교체 주기가 왔을 가능성이 높다.

 

동일한 크기의 수은전지도 규격이 달라서 시계에 들어가는 전지를 쓰면 안되고,

 

CR2032 라고 표기된 3V 짜리 전지를 사용해야 한다.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