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 기계적 장치인 HDD와는 달리 반도체를 이용해 정보를 저장 함.
고속으로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으며 지연이나 실패율, 충격으로인한 데이터 손상, 발열, 소음, 전력소모가
적지만 셀 불량일 경우 복구가 어렵고, 상대적으로 저용량에 고가장치 임.
읽기/쓰기에 수명제한이 있음.
1. SSD에 XP 설치시 삭제/쓰기 방식이 HDD와 달라 주기적으로 전용 TRIM 프로그램으로 정렬해 주지 않으면
성능저하를 일으킴. 단, TRIM을 너무 자주하면 수명저하.
2. GC기능 지원 SSD는 하드웨어적으로 정렬해주므로 TRIM이 필요 없음.
(WIN7 이상에서는 GC기능이 없는 SSD라도 별도 프로그램 필요없이 내부적으로 TRIM 정렬됨.
단 IDE 모드에서 설치된 WIN7이라면 해당 드라이버가 지원하지 않아 자동 정렬되지 않음.
수동으로 TRIM 실행해 주어야 함)
3. SSD 최적화 방법
- OS 설치 전, BIOS 상에서 IDE가 아닌 AHCI 모드로 변경 후 설치하면 10~15% 성능 향상을 가져 옴.
(OS 설치 후 IDE – AHCI 모드 변경시 부팅 안됨 단, XP계열은 IDE모드에서 설치해야 함.
OS 설치 후 AHCI로 변경을 원하면 별도 설치 및 설정 후 바이오스상에서 변경해 줘야 함.)
- 시스템복원기능 해제 (기능이 켜져있으면 TRIM 및 GC 기능이 어려워져 몇주이내에 성능 하락을 가져 옴)
- 디스크 조각모음 비활성화 (SSD는 디스크조각모음이필요하지 않음. 수명이 줄어듬)
- 페이징파일 해제 (메모리 용량이 충분하다면 사용)
내컴퓨터 속성-고급-성능 설정-가상메모리 “모든드라이브에대한페이징파일크기관리” 체크해제.
페이징 파일 없음으로 설정.
- 임시 인터넷 파일 저장위치 이동
(인터넷 옵션 - 검색기록 설정 – 임시 인터넷 파일 폴더를 HDD 드라이브로 이동)
- 최대절전모드 끄기 (실행되고있는 프로그램을 열어둔채 종료하는 기능). SSD에서는 유용하지 않은
기능이지만, 노트북에는 필요할 수 있음.
최대절전모드 해제시 상당한 용량 확보 됨. (제어판 – 전원관리 또는 실행 – CMD - powercfg -h off )
- 드라이브 색인 사용중지 (파일에 대한 빠른 액세스를 허용하는 것이지만 SSD의 액세스시간은 약 0.x ms
이므로 의미가 없고 비활성화시 성능향상 됨) 내컴퓨터의 SSD 드라이브에 마우스 우클릭 - 속성 – 일반
“이 드라이브의 파일 속성 및 내용 색인 허용” 체크 해제 후 적용하면 특성 변경 확인창 뜸.
“드라이브 C:\, 하위폴더 및 파일에 변경 사항 적용” 체크.
* Samsung SSD Magician 등 전용 툴이 없는 제품은
Naraeon SSD Tools (http://dev.naver.com/projects/nstools) 사용하여 최적화 (지원되는 SSD 확인)
4. SSD 선정시 참고사항 : 샌드포스 컨트롤러 사용 SSD는 문제이슈가 많으므로 쓰지 않는 것을 추천,
- MTBF = 1,500,000 (150만시간 사용)
- IOPS (초당랜덤입출력횟수)가 높은제품이 순차읽기쓰기속도가 높은제품보다 보다 실사용에서 더 좋음
(순차읽기/쓰기 속도는 파일 복사를 할때의 속도,
IOPS는 다운받은 게임 데이터를 얼마나 빨리 처리할 수 있는가의 속도)
- 쓰기수명 = TLC : 500~1,000회 / MLC : 3,000~10,000회 / SLC : 5,000~100,000회
(32GB TLC SSD 수명은 32GB를 매일 기록했을 때 1,000일 사용 가능.
32GB*1,000=32TB 에 달하는 쓰기반복 가능한 수명)
'저장매체 > SSD'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HD (Solid State Hybrid Drive) 란? (0) | 2014.12.13 |
---|